나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 ‘자존감’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임을 인식하고, 인생의 역경에 맞서 이겨낼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자신의 노력에 따라 삶에서 성취를 이뤄낼 수 있다는
일종의 자기 확신을 뜻합니다.
자존감이 적당하게 잘 형성되면 자신을 소중히 여기며, 다른 사람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존감이 약한 사람은 자신의 실체와는 별개로 남의 시선을 의식해가며 전전긍긍 살아가지요. 자존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고 열등감이 심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자존감이 높기만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자존감이 너무 높아도 사회생활에 문제가 되거나 타인을 무시하기 쉽습니다.
너무 많아도, 적어도 문제인 자존감에 대한 정의와 25가지 말과 행동을
이 책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나를 사랑하기’,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걱정과 불안 멀리하기’, ‘부정적인 마음 몰아내기’, ‘작은 것부터 도전하기’의 크게 5가지 주제 밑에 세부 주제 5개씩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용과 함께 ‘자존감을 키우는 말 연습’, ‘자존감이 자라는 글쓰기’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 내용을 몸으로 체득해 볼 수 있습니다.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서다정
글: 김수현
초등학교 시절부터 장래 희망이 늘 ‘초등학교 선생님’이었습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서울교육대학교에 진학하여 실제로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서울 정릉, 삼양, 숭곡초등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 정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입니다. 나와 너, 우리가 함께 행복한 교실과 가정을 지향하며, 크고 작은 것들을 기록하길 좋아합니다.
저서로는 다년간 초등 1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며 쌓은 노하우를 집약시킨 『초등 입학 전 학습 놀이』 『한 권으로 끝내는 초등학교 입학 준비』 『한 권으로 끝내는 한글 떼기』, 그림책으로 공감하며 슬로우 리딩으로 깊게 읽고 나누는 과정을 담은 『듣는 독서로 완성하는 아이의 공부 내공』, 두 아이를 기르고 많은 초등학생을 만나면서 느낀 습관의 힘을 초등교사인 남편과 함께 푼 『작지만 강력한 초등 습관의 재발견』, 어린이를 위한 동화 『우리 반 목소리 작은 애』 등이 있습니다.
[나를 사랑하기]
01 나는 키도 작고 못생겼어 | 02 내가 잘해야 사랑받을 것 같아
03 자꾸만 실수하는 내가 바보 같아 | 04 하고 싶은 일도, 되고 싶은 것도 없어 | 05 친구들에게 멋진 모습만 보여 주고 싶어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06 가난한 우리 집이 싫어 | 07 사소한 것도 모두 이기고 싶어
08 가족과 친구들이 나보고 특이하대 | 09 가족의 기대가 부담스럽고 자신 없어 10 열심히 노력했는데 다 망쳤어
[걱정과 불안 멀리하기]
11 발표할 때마다 틀려서 긴장돼 | 12 어차피 나는 안될 거야
13 내 생각을 솔직하게 말하기 어려워 | 14 안 좋은 일이 생길까 봐 불안해
15 학급 회장이 되고 싶은데 망설여져
[부정적인 마음 몰아내기]
16 편은 아무도 없는 것 같아 | 17 모두 행복한데 나만 불행한 것 같아
18 작은 일에도 화나고 짜증 나 | 19 끈기 없는 내가 한심해 | 20 동생이 없으면 좋겠어
[작은 것부터 도전하기]
21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 | 22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 하겠어
23 모든 것이 귀찮고 하기 싫어 | 24 잘하고 싶은데 마음대로 안돼 | 25 뭐든 잘하는 친구가 부러워
[부록]
단점을 장점으로! 리프레이밍 연습 | 긍정 파워를 심어 주는 리프레이밍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