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최혜미
요즘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케이팝데몬헌터스(이하 케데헌)’에 나오는 ‘더피’라는 캐릭터를 아나요? 그럼, 크고 노란 눈빛의 귀여운 호랑이 ‘더피’가 사실 한국 전통 민화 <까치 호랑이>로부터 영감을 받았다는 사실도요?
<까치 호랑이>도 그런 그림이야. 우리 조상들은 특히 새해 첫날, 새해의 소망과 희망을 담은 그림을 집 안 곳곳에 붙였거든. (중략) 그러니까 <까치 호랑이>는 한 해 동안 가정이 화목하고 좋은 소식이 넘쳐나기를 기원하고, 나쁜 기운은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고마운 그림’이었던 셈이야.
그럼, 여기서 퀴즈! 우리나라 지폐에 작품이 네 점이나 실린 예술가는 누구일까요? 힌트는 ‘초상화, 묵포도도, 가지, 조충도’입니다. 조금 어렵다면, ‘5만원 속 지폐 인물’을 떠올려 주세요!
신사임당은 1504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마흔여덟 살인 1551년에 서울 삼청동에서 세상을 떠났어. 사실 이렇게 태어난 해와 사망한 해가 정확히 알려진 여성은 조선 시대에 얼마 없어. 조선 시대, 특히 중기 이후에는 남녀 차별이 정말 심했거든. (중략) 여성이었던 심사임당이 유명해진 데에는 그림의 힘이 크단다!
어느 잔치 날 손님으로 온 부인이 비싼 치마에 음식을 쏟아 울상이 되어 있자, 신사임당은 “치마 한번 벗어봐 주세요”하고 말했다고 해요. 그러고는 얼룩진 자국 위에 먹물로 포도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지요. 나중에, 이 치마를 시장에 내놓았더니 원래 값보다 훨씬 비싸게 팔렸다는 이야기를 통해서도 신사임당의 뛰어난 그림 실력을 엿볼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 제가 생각하는 그림을 재밌고, 즐겁게 보는 방법은 그 안에 깃든 ‘이야기’를 함께 아는 것이랍니다. 이 그림이 그려졌을 당시의 상황이 어땠는지, 화가는 어떤 마음으로 그렸는지 말이죠. 그런 의미에서 이 책 「왜 유명한 거야, 이 그림? 한국 미술」은 작품에 관한 이야기와 비밀을 들려주어 그림을 보는 시선을 한층 더 흥미롭게 만들어 준답니다.
그리고 해당 장마다 마지막에 작품을 볼 수 있는 미술관들을 소개해 주고 있어요! 책으로 본 작품을 눈으로 직접 본다면, 그 감동이 두 배가 되겠지요? 교과서 속 익숙한 작품부터, 조금은 낯선 그림까지! ‘아는 것이 힘이다’를 이 책을 통해 깨달아 보는 건 어떨까요? 우리 함께 한국 미술의 아름다운 매력에 빠져 봅시다!
저자 소개
이유리 (글)
어릴 적부터 미술 교과서나 신문에서 마음에 드는 그림들을 오려 내어 스크랩하던 아이였습니다. 어학연수를 위해 갔던 영국에서 영어 공부 대신 런던에 있는 갤러리를 훑고 다녔고, 영어 대신 머릿속에 미술 지식만 꾹꾹 담고서 돌아왔습니다. 신문사 사회부 기자로 활동하다가 지금은 미술 분야의 글을 쓰는 작가가 되었습니다. 지은 책으로 『왜 유명한 거야, 이 그림?』 『나는 그림을 보며 어른이 되었다』 『기울어진 미술관』 『캔버스를 찢고 나온 여자들』 『화가의 마지막 그림』 『세상을 바꾼 예술 작품들』 등이 있습니다.
허현경 (그림)
고양이 미남, 미동, 쥰이, 젠이, 강아지 여름이와 함께 지내며 그림을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경영학을 공부했지만 그림이 좋아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왜 유명한 거야, 이 그림?》, 《명절 속에 숨은 우리 과학》, 《얘들아, 모여라! 연극하자!》, 《학교 범인 찾기 추리북》 등 여러 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목차
1. 한국인의 영혼을 담다, 이중섭 <소> … 12
2. 꿈과 환상의 나라에 온 걸 환영해, 안견 <몽유도원도> … 26
3. 입이 떡 벌어지는 장관, 정선 <금강전도> … 40
4. 웃음과 슬픔,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김홍도 <서당> … 52
5. 가장 사소한 것들을 위해, 박수근 <빨래터> … 68
6. 이것도 예술이라고?, 백남준 <TV 부처> … 80
7. 이게 그림이야, 사진이야?, 신사임당 <초충도> … 94
8. 무명 작가들이 만든 가장 유명한 그림, 민화 <까치 호랑이> … 108
9. 내 최애 소장품을 소개합니다, 민화 <책거리> … 120
10. 평온함을 주는 신라의 보물, <금동반가사유상> … 132
11. 결국 나는 다시 일어설 거야, 천경자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