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광진정보도서관

광진구립도서관 모두 보기

주메뉴

당신은 결코 특별하지 않다
당신은 결코 특별하지 않다
  • 저자 : 전미경 지음
  • 출판사 : 갤리온
  • 발행연도 : 2025년
  • 페이지수 : 247p
  • 청구기호 : 185.5-ㅈ278ㄷ
  • ISBN : 9788901295312

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유호준

 

얼마 전 '진격의 거인' 애니를 본 적이 있다.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대사가 나온다. '특별한 인간은 분명 존재한다. 그저 그것이 내가 아니었을 뿐인 것을. 고작 그런 사실을 어째서 깨닫지 못했는지' 조연이 주인공과 비교하여 자신의 능력 부족을 탓하며 내뱉은 대사이다. 그 사실을 깨달은 조연의 표정은 얼마나 허무했는지, 아직도 생생하다. 씁쓸하지만 맞는 말이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었다.

 

끊임없이 특별해지기를 강요하는 사회에서 우리는 강박과 비교로 스스로를 몰아세우며 살아가고 있다. 작가는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며, 그러한 강박에는 결국 특별한 사람, 특별하지 않은 사람 모두 '특별해지려는' 가짜 자존감이 도사리고 있음을 진단한다. ‘가짜 자존감이라는 개념의 존재가 책에 몰입하게 만든다.

 

읽다 보면 누구나 다 흔히 겪어본, 들어본 사례들이 등장한다. 너무 완벽함만을 추구한 사람이 실수 한 번에 무너진 일, SNS를 통해 열등감에 빠져 허우적대는 일 등 작가가 상담했던 사람들의 사례를 나열한다. 물론 그런 사례들을 나열하며 공감만을 바랐다면, 그저 공감 에세이로 그쳤을 테다. 하지만 작가는 철학자들의 이론을 접목하며 현상을 규명한다. 혹은 영화와 소설의 사례로 내담자들의 상태를 콕 집어내 설명한다. 알 수 없었던 감정들이 이해받았기 때문일까, 뚜렷한 해결책과 처방이 없어도 왠지 모를 위로가 된다.

 

그래서 그 진격의 거인의 특별하지 않은 조연은 어떻게 됐나. 교관이 되어 병사를 키워내는 사람이 된다. 그러고는 주인공을 포함한 최고의 팀을 키워내는 역할을 한다. 조연의 진부한 서사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실의에 빠지지 않고 평범함을 인정하며 착실하게 살아가는 일. 책에서도 인용한 말이지만 베트남 출신 불교 스승 틱낫한이 말하는 기적은 물 위를 걷거나 공중을 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사는 것이다라는 삶을 태도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뼈저리게 느껴지는 세상에, 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아주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전미경)

 

25년간 10만 명 이상의 삶을 회복시킨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자존감 전문가. 우울증, 중독정신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이어왔으며, SBS 긴급출동 SOS 24, 언니한텐 말해도 돼, 세바시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문을 맡거나 강연을 해 왔다. 자존감에 대한 과잉 담론 속에서 가짜 자존감이라는 날카로운 화두를 제시하여 화제를 모았고, 인간관계와 심리, 감정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을 전하며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엄마의 자존감은 저자가 정신과 전문의이자 한 아이의 엄마로 살아오며 수없이 흔들렸던 자존감을 단단하게 지켜 낸 경험을 바탕으로 엄마들에게 따스하면서도 실질적인 조언을 전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잃어버린 자존감을 되찾고, 불안, 좌절, 죄책감, 후회에서 벗어나 세상의 어떤 큰 파도에도 쉽게 휩쓸리지 않는 자존감의 유산을 아이에게 물려주는 엄마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쓴 책으로는 당신은 결코 특별하지 않다, 당신은 생각보다 강하다, 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 아무리 잘해줘도 당신 곁에 남지 않는다등이 있다. 현재는 천안 굿모닝정신건강의학과의 원장으로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세상과 타인에 흔들리지 않는 자유로운 삶에 관하여

 

1- 당신이 특별하다는 착각

: 지나고 나면 별일 아닌 것들, 살다 보면 별것 아닌 나

우리 스스로 설치한 CCTV

당신은 결코 특별하지 않다

우리 인생의 전면부와 후면부

완벽이라는 환상 속 자아 찾기

솔직함은 무기가 될 수 없다

거울 속에 비친 나는 누구일까

진정한 평범함을 찾아서

 

2- 불행을 삶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는 착각

: 어차피 우리는 저마다의 이유로 고통스럽다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불행과 발맞춰 춤을 추는 삶

우리는 모두 불완전하다

어떻게든 나아지는 힘에 관하여

삶은 통제할 수 없다

완벽이라는 감옥에서 벗어나기

연결된 세상에서 살아가는 법

일상이 된 생존 게임과 불행이라는 환상

 

3- 타인은 지옥이라는 착각

: 내 인생이 아닌 타인의 삶, 타인이 살아주지 않는 나의 삶

당신은 드라마 속 주인공이 아니다

공갈빵 같은 세상에서의 진실한 관계

낯선 만남이 준 선물

다시 짜는 관계의 무늬

스스로 만드는 지옥

고통을 받아들이는 용기에 대하여

타인의 존재를 진정으로 마주한다는 것

 

4- 삶이 무한하다는 착각

: 어차피 삶은 끝이 난다

정신과 의사의 죽음 성찰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렌즈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법

시한부 진단이 가르쳐 준 삶의 의미

소유에서 존재로의 춤

은행나무와 콜로라도 고속도로